- 영문명
- The Impact of Job Crafting and Learning Agility on Digital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uangdong, China: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Kindergarte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왕웬웬(Yuan Yuan Wang) 이영은(Young-E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697~70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광동성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과 학습민첩성이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유치원 조직창의성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 광동성 소재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449명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중국 광동성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과 학습민첩성은 디지털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민첩성과 디지털 역량 간의 관계에서 유치원 조직창의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조직창의성이 높을수록 학습민첩성이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하여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과 학습민첩성을 촉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유치원의 조직창의성 또한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crafting and learning agility on the digital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uangdong, China,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kindergartens in this relationship.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4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in Guangdong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job crafting and learning ag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uangdo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digital competence.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kindergartens, the stronger the effect of learning agility on digital competence, confirming its moder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stering job crafting and learning agilit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ir digital competence.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kindergartens plays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the digital competenc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