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 prevalence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희(Yoon Hee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635~64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세 이상 성인에서 주관적 건강 인식과 실제 만성질환 유병과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건강 행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2021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2,658명을 선정하였으며, 통계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을 시행하여 만성질환 유병과 주관적 건강인식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만성질환 유병상태와 주관적 건강인식 일치여부를 통해 4가지 유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주관적 건강인식이 만성질환 유병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특히 여성, 사회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농촌거주 등 전통적인 취약계층에서 만성질환 유병이 있으며 낮은 주관적 건강인식을 가지고 있는 고위험군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주관적 건강인식이 만성질환 유병과 연관성이 있으나 완전히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실제 건강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추가, 개발하면 실제 건강상태를 더 반영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chronic disease prevalence in adults over 20 years and to analyze the health behavior accordingly.
Methods 2,658 people were select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and statistics were analyzed by real numbers, percentages, everages analysis, t-test, ANOVA and general linear model using SPSS 24.0.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to four types through the coincidence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especially in the case of women,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rural residence is high risk group.
Conclusions Although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Therefore, adding and developing indicators that can reflect actual health conditions will further reflect actual health condi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