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go-Resil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미(Yoomi Kim) 한수정(Ju-Hee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437~45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다문화가정 중·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동향과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관한 총 1,100편을 수집하여, 배제와 포함 기준 3단계를 거쳐 다문화가정 중·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관한 최종 23편을 선정하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DBpia), 한국학술교육원(ⓔarticle),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총 5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중·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요인(이중언어 능력, 발달 자산, 이중문화 수용태도), 가정 요인(부모-자녀 의사소통,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 태도, 가족 지지, 부모의 지지와 감독, 모의 양육효능감), 학교·사회 요인(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교우관계)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중·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인 요인(임파워먼트, 삶의 만족도, 성취동기, 정신건강, 우울), 학교·사회 요인(사회 적응력, 사회적 위축,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생활 적응, 학교생활 만족도, 학습 태도, 학업 중단, 진로 결정성, 교우관계)이 도출되었다.
결론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미비했던 다문화가정 중·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 요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출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과 성장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rives research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s A total of 1,100 articles on the self-resilience of multicultural yout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8 to 2023 were collected, and the final 23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three stages of exclusion and inclusion. A total of five databases were used for the search database: Korean Academic Information (KISS),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cademic Database Service (DBpia), Korean Academy of Academic Education (ⓔ particle), and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Result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Second, individual factors (bilingual ability, developmental asse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family factors (parent-child communication,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family support, parental support and supervision, simulated parenting efficacy), and school and social factors (social support,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mpanionship) were derived from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individual factors (empowerment, life satisfaction, achievement motivation, mental health, depression), school and social factors (social adaptability, social atrophy, cultural adaptation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academic interrupti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ompanionship) were derived.
Conclusions By deriving in more detail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previous studie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This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growth process of multicultural youth in more dep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