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 대상 발레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49

영문명
Exploring the Developmental Approach of Senior Ballet Related Internal Research by the Trend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ith the Learning and Participating Ballet for Senio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나(JiNa Kim) 정원정(WonChung Chung) 김수연(SueYeon Kim) 윤미정(MeeCheong Yoon) 김리나(RiNa Kim) 이수정(SooJeong Lee) 서유화(YouHwa Seo) 박휴경(HyuKyoung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385~39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발레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 발레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를 위해 2011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총 26편을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RISS’와 ‘KCI’ 및 ‘Google Scholar’에서 노인, 시니어, 실버, 발레의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아직 연구가 미비하여 양적 성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판 기관별 동향을 살펴보면 무용 분야 연구가 가장 많았고, 체육 분야가 그 뒤를 이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운동 중재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연구 주제는 노화의 신체적, 생리적 측면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발레가 노년층의 건강을 위한 활동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 발레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연구의 범위 확대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건강한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연구 대상을 세분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방법이 양적 연구, 특히 운동 중재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발레에 대한 인식과 욕구, 지도자들의 노인 발레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 개발 등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노인 교육(운동, 여가 등) 현장의 현실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의 확대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시니어 발레의 정착과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노인 발레 연구는 무용과 체육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어 왔다는 점에서 다학제적 접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고령화 사회에서 신체활동으로서의 노인 발레 교육 연구가 다른 학문과 융합되어 보다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연구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rends in ballet-related research for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26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1 to 2024, the time of the first study, were analyzed for content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using ‘RISS’, ‘KCI’ and ‘Google Scholar’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research is still underdeveloped and needs quantitative growth. Second, when looking at the trends by publishing organization, the most research was done in the field of dance, followed by physical education, and there were few studies in various academic fields. Third, the research methods are biased toward quantitative research, with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being the most common. Fourth,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most often related to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of aging. This suggests that ballet has value as an activity for the health of older adult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geriatric ballet research. First, the scope of the study should be expanded. A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ealthy elderly women, it is necessary to segment and diversify the research population. Second, research methods have been dominated by quantitative studies, especially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Therefore, attempts should be made to understand older adults' perceptions and desires for ballet, leaders' perceptions of ballet for older adults, and program development. Thir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and improve the reality of the field of senior education (exercise, leisure, etc.). This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ballet for seniors in the real world. Four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udy of senior ballet can be developed into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given that it has been tried in various fields other than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study of ballet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a physical activity to be integrated with other disciplines in the aging society to lead to more socially contributing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나(JiNa Kim),정원정(WonChung Chung),김수연(SueYeon Kim),윤미정(MeeCheong Yoon),김리나(RiNa Kim),이수정(SooJeong Lee),서유화(YouHwa Seo),박휴경(HyuKyoung Park). (2025).노인 대상 발레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9), 385-397

MLA

김지나(JiNa Kim),정원정(WonChung Chung),김수연(SueYeon Kim),윤미정(MeeCheong Yoon),김리나(RiNa Kim),이수정(SooJeong Lee),서유화(YouHwa Seo),박휴경(HyuKyoung Park). "노인 대상 발레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9(2025): 385-39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