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s of Teacher-Centered vs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on Basketball Skills and Tactics in China’s Middle School
이용수 32
- 영문명
- 교사 중심과 학생 중심 교수법이 중국 중학생들의 농구 기술 및 전술에 미치는 영향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추이밍량(Mingliang Cui) 최승우(Seungwoo Choi) 리우슈앙루이(Shuangrui Liu) 이안수(Ansu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191~20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중학생을 대상으로 농구 기술 및 전술에 교사 중심과 학생 중심 교수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중국 광동성 소재 진딩중학교 8학년 학생들로, 학생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군 52명(남 29명, 여 23명)과 교사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대조군 53명(남 28명, 여 25명)으로 구성되었다. 교수 내용은 중국 정규 체육 교육 기준에 따른 8학년 농구 수업이었다. 두 집단 모두 8주 동안 24차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농구 기술 및 전술 습득에 대한 평가는 자유투 슈팅(10번 시도), 반코트 드리블 및 레이업(시간), 게임(득점) 등의 세 가지 항목으로 진행되었다. 두 집단의 동질성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전 테스트 자료에 대한 독립 t-검정을 시행하였고, 사후 자료는 집단(실험군 vs. 대조군)과 시간(전후)을 기준으로 이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2×2 이원분산분석 결과, 첫째, 반코트 드리블과 레이업의 경우, 집단의 주효과[F(1,206)=11.647, p<.05]와 시간의 주효과[F(1,206)=485.785, p<.05]가 두 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F(1,206)=2.671, p>.05]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자유투 슈팅의 경우, 시간의 주효과[F(1,206)=.017, p<.05], 집단의 주효과[F(1,206)=.017, p>.05], 그리고 집단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F(1,206)=.001, p>.05]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게임의 경우, 집단의 주효과[F(1,206)=6.437, p<.05], 시간의 주효과[F(1,206)=488.794, p<.05], 그리고 집단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F(1,206)=6.887, p<.05]가 두 집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체육 교사들이 전통적인 교수법을 개선하고 학생 중심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기여하며, 체육 수업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cher-centered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on the mastery of basketball skills and tactics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tudy involved eighth-grade students from Jinding Middle School in Zhuhai City, Guangdong Province, China. A total of 105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52 students) using a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the control group (53 students) using a teacher-centered teaching. Both groups received 24 basketball lessons over 8 weeks following the 8th-grade curriculum. The students were tested on three areas: free-throw shooting (10 attempts), half-court dribbling and lay-up (time), and game performance (score). For data analysis, pre-test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to confirm group homogeneity, and a two-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 and time, using SPSS 26.
Results The two-way ANOVA showed that first, in the case of half-court dribbling and lay-up, both the main effect of group [F(1,206) = 11.647, p < .05] and time [F(1,206) = 485.785, p < .05] were significant, though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F(1,206) = 2.671, p > .05]. Second, in the case of free-throw shoo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either the group [F(1,206) = .017, p > .05] or time [F(1,206) = .017, p > .05] effects. Third, in the case of the game,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for both group [F(1,206) = 6.437, p < .05] and time [F(1,206) = 498.749, p < .05], with 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1,206) = 6.887, p < .05].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centered method in enhancing basketball skills, especially in game performance, encouraging PE teachers to adopt student-centered approaches to improve teaching outcom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