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Happiness through Peer Relationship: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안순(An-Soon 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147~1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관계가 친구관계를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초4패널(중1) 4차년도(2021) 자료 2,275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관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관계를 통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관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인식 능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관계가 친구관계를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인식 능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해 초기 청소년기에 느끼는 행복감에는 부모와 친구를 포함한 긍정적 대인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세 변인 간의 관계를 인지적으로 공감할 줄 아는 정서인식 능력이 조절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에 타인의 상황을 공감하고 올바르게 정서를 인식할 줄 아는 능력이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도울 뿐 아니라 청소년 자신의 행복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h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arental relationships on happiness through friendship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2,275 4th grade elementary school panel (1st grade middle school)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s the analysis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for the dat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hips on the effect of parental relationships on happiness was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moderated the effect of parental relationship on friendship. Thir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relationship on happiness through friendship.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once again that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or happiness in adolescence, and that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variables. Therefore,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 that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situations and correctly recognize emotions can not only help form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lso help increase adolescents' own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