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Needs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ing on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주(Hyun-Joo Kim) 손은령(Eun-Young S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109~1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의 개선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D지역 5개 자치구 각각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29명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정도와 인식,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고,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을 도출하였다.
결과 고교학점제의 취지와 목적에 대한 인식은 270명(51%),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는 277명(52.3%)의 학생이 ‘보통이하’의 응답을 하였으며, ‘개인별 맞춤학습이나 대학진학, 진로선택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406명(76%)으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를 통해 가장 바라는 것은 1순위가 다양한 공동교육과정개발, 2순위가 정기적인 진로상담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교학점제에 대한 요구를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관점에서 조사한 결과, 진로교육 영역에서는 ‘진로와 진학에 도움이 되는 현장직업체험 활동과 직업인 특강, 학과 체험 활동’이 최우선 과제로 요구가 높았다. 진로상담 영역에서는 ‘아직 결정하지 못한 진로에 대한 진로지도와 상담,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역별 맞춤 상담, 희망 과목 선택시 충분한 진로직업 체험의 기회 부여에 대한 상담’과 학교에서 진로전담교사와의 상담에 대한 요구가 최우선 과제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고교학점제가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여 내실화를 기하면서 정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propose improvement task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29 high school sophomores across five autonomous districts in Region D to assess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wareness, and demand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were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a t-test, while the Borich demand level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pplied to identify high-demand items.
Results Of the 270 students who responded (51%), they stat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purpose and u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dditionally, 277 students (52.3%) indicate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was ‘below average’. Meanwhile, 406 students (76%) responded that the system was ‘helpful for personalized learning, college admission, and career choice’. The most desired aspec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common curricula, followed by regular career counseling.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demand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revealed that the highest priorities in vocational education were ‘on-the-job experience activities, special lectures by professionals, and academic experience activities useful for career and higher education’. In the area of career counseling, the highest priorities included the need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for undecided career paths’, individual counseling for academic difficulties, counseling to provide sufficient work experience opportunities when choosing desired majors, and sessions with career counselors at school.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to ensure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established effectively while taking into account students' careers and aptitu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