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란(Jung Ran Lee) 정혜인(Hye I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601~6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유아환경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유아환경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유아환경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경상남도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 회수된 232부(77%)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설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추출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의 답변은 문항별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여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유아환경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유아기부터 구체적 경험과 실천을 통해 환경교육을 체득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환경교육에 있어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내용은 ‘건강과 환경’, ‘자연환경’ 등 유아에게 친숙한 주제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환경교육 실시에 가장 어려운 부분은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유아환경교육 실시에 있어, 행·재정적 지원 및 교재·교구의 부족을 어려움 중 하나로 인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접근이 용이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인터넷 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아환경교육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놀이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analyze the challenges faced by preschool teachers in effectively implemen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ways to support them. This coul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300 preschool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sangnam-do, and 232 responses (77%) were ultimately collected and used for the study. The survey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after review by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in order to assess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current practices, and needs regarding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Results First,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very necessary and should be learned through concrete experiences and practices from early childhood. Second,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topics i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those familiar to children, such as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s.” Lastly, the most challenging aspect of implementing environmental education was applying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children.”
Conclusions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educators identifi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resources, as one of the challenges in implementing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a result, they most frequently utilized internet resource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and cost-effective.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ppropriate play materials and programs for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