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and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VCP): The Moderating Effect of Telepres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변유나(Yuna Byun) 이수정(Soojung Lee) 연규진(Kyu Jin Y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439~4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 관계에서 화상 실재감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상담심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국내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24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 간의 관계에서 화상 실재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상담자의 상담경력, 화상상담 경력, 원거리 의사소통에 대한 편안함을 통제변인으로 포함하였다.
결과 통제변인(상담자의 상담경력, 화상상담 경력, 원거리 의사소통에 대한 편안함)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은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를 화상 실재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담자가 화상 실재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 대면상담에서 치료적 실재감을 높은 수준으로 발휘한 상담자일수록 화상상담에서도 치료적 실재감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데, 화상 실재감을 높게 경험할수록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이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화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장면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and therapeutic presence in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VCP)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lepresence on this relationship.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8 certified counseling professional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lepres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and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VCP). Counseling experience, VCP experience, and distance communication comfort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in the analysi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counseling experience, VCP experience, and distance communication comfort,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rapeutic presence in VCP. Furthermore, telepresence moderated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and therapeutic presence in VCP was stronger when counselors reported higher levels of telepresence.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unselors who demonstrate higher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tend to exhibit higher therapeutic presence in VCP. Furthermore, higher levels of telepresence intensified the positive impact of therapeutic presence in face-to-face psychotherapy on therapeutic presence in VCP.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e results to counseling settings, as well as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