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 Meta-Analytic Path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영(Ji Young Lee) 최현주(Hyunju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209~2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메타경로분석을 통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간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크기를 비교하고 어떤 변인이 더 큰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총 89편의 논문에서 상관계수를 추출하였으며, 최종 연구물(k) 수는 137개, 전체 사례 수는 96,439명이었다. 메타분석은 R을 사용하였고, 메타경로분석과 인지적 유연성 및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차이 검증은 Mplus로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메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정적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인지적 유연성 및 자기자비와는 부적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는 사회불안과 부적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메타경로분석 결과,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는 각각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인지적 유연성보다 큰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평가염려 완벽주의로 인해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는 유용한 개입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자기자비가 인지적 유연성보다 사회불안 개입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through meta-path 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9 studies were included, yielding 137 effect sizes with a combined sample size of 96,439 participants. Meta-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R, and path analyses and mediating effect comparisons were performed using Mplus.
Result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also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ocial anxiety. Second, the meta-analytic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stronger than that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ndividuals experiencing social anxiety due to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pecifically, the results highlight that self-compassion may play a more effective role than cognitive flexibility in reducing social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