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아케이드로서 OTT 플랫폼: 영화적 경험의 변화에 따른 ‘산만한’ 관객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OTT Platforms as Digital Arcades: A Study on ‘Distracted’ Spectatorship Amid Changing Cinematic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찬욱(Chan-wook Lee) 김종완(Jong-wan Kim)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2호, 215~2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23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OTT 플랫폼을 ‘디지털 아케이드’로 비유하여 영화 관객성의 변화를 탐구한다. 19세기 파리 아케이드에서의 산책자(flâneur) 개념을 바탕으로, 오늘날의디지털 시청자가 미디어로 가득 찬 가상공간을 어떻게 탐색하는지 조사한다. 전통적인 고전 영화의 몰입형 관객성과 달리, 현대 디지털 관객은 개인화된 알고리즘과 모바일 소비 습관의 영향을 받아 단편적이고 산만한 시청 패턴을 보인다.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산만함 개념을 현대 OTT(Over-The-Top) 플랫폼에 적용하여영화 관람의 변화하는 본질을 탐구한다. 초기 영화와 OTT 플랫폼에서의 영화 관람을비교 분석하여 OTT 플랫폼에서의 개인화되고 단편적인 미디어 소비와 초기 영화 관객이 경험했던 단편적인 영화 경험의 유사성을 탐구한다. 초기 영화 시절부터 현재까지 ‘산만한 참여’가 지속되고 있으며 OTT 플랫폼 환경에서의 산만한 관객성이 어떻게 디지털 환경을 탐색하며 영화적 참여를 재구성하고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산만한 관객의 역사적 연속성과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미디어 소비의 맥락에서 영화 경험의 진화를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초기 영화’ 관람과현대의 ‘스트리밍’ 관람 사이의 유사점을 분석해 그것이 ‘산만한 참여’의 연속성임을강조하고, OTT 플랫폼은 더욱 유동적이고 단편화된 소비 유형의 관객을 통해 새로운형태의 관객성을 창출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shifts in film audiences by conceptualizing OTT (Over-The-Top) platforms as a ‘digital arcade.’ Drawing on the figure of the flâneur in 19th-century Parisian arcades, it examines how contemporary digital viewers navigate media-saturated virtual environments. Unlike the immersive spectatorship characteristic of classical cinema, modern digital audiences exhibit fragmented and distracted viewing behaviors shaped by personalized algorithms and mobile consumption habits. By applying Walter Benjamin’s concept of distraction to contemporary OTT platforms, the study interrogates the transformation of cinematic spectatorship.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arly cinema and viewing practices on OTT platforms, it explores parallels between the personalized, fragmented media consumption on these platforms and the fragmented experiences of early moviegoers. The study posits that ‘distracted participation,’ a phenomenon evident since the advent of cinema, persists in the current OTT ecosystem, where distracted spectatorship reconfigures engagement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and redefines cinematic participation. It traces the evolution of the cinematic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media consumption by highlighting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significance of the distracted audience. Ultimately, the analysis identifies continuities between ‘early film’ spectatorship and ‘contemporary streaming’ practices, arguing that the phenomenon of ‘distracted participation’ endures, with OTT platforms fostering new modes of spectatorship characterized by more fluid and fragmented consumption patterns.

목차

1. 들어가며
2. 초기 영화의 산만한 영화 경험
3. OTT 플랫폼 환경에서의 산만한 영화 경험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욱(Chan-wook Lee),김종완(Jong-wan Kim). (2024).디지털 아케이드로서 OTT 플랫폼: 영화적 경험의 변화에 따른 ‘산만한’ 관객성 연구. 영화연구, (), 215-243

MLA

이찬욱(Chan-wook Lee),김종완(Jong-wan Kim). "디지털 아케이드로서 OTT 플랫폼: 영화적 경험의 변화에 따른 ‘산만한’ 관객성 연구." 영화연구, (2024): 215-24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