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Complex Final Consonants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최현정(Hyeon Jeo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4호, 257~29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이 글은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중ㆍ고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겹받침 발음의 표준 발음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1개의 겹받침 표준 발음 인식 양상을 조사하여, 각 겹받침에 대한 인식 경향과 표준 발음과의 일치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각 겹받침에 대해 어떤 인식 경향을 보이는지 살펴, 이를 1~5단계의 인식도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 발음과의 일치 여부 및 인식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 발음 인식이 대체적으로 높은 겹받침은 체언 겹받침 ㄳ, ㄽ, ㄻ과 용언 겹받침 ㄵ, ㄶ, ㅀ, 그리고 체언/용언 겹받침 ㅄ이다. 둘째, 표준 발음 인식도가 확고하지는 않으나, 대체적으로 높은 겹받침으로는 용언 겹받침 ㄻ과 ㄼ이다. 다음으로 표준 발음 인식에 혼동을 일으키며 보다 주의가 필요한 겹받침은 용언 겹받침 ㄾ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준 발음 인식도가 특히 낮게 나타난 겹받침으로는 용언 겹받침 ㄼ과 ㄿ, 그리고 체언 및 용언 모두에 해당하는 겹받침 ㄺ이다. 용언 겹받침 ㄼ은 어휘의 종류와 관계없이, 표준 발음을 [ㄹ]로 단순화하여 인식하는 경향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용언 겹받침 ㄺ은 뒤따르는 자음이‘ㄷ’이나‘ㅈ’일 때보다,‘ㄱ’이 올 경우 표준 발음으로 인식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겹받침 ㄺ은 체언과 용언 모두에서 발음 인식의 혼동이 크게 나타나는 유형으로, 외국인 학습자에게 특히 부담이 큰 겹받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음 교육 시에는 보다 세심한 주의와 집중적인 지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겹받침 발음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발음 인식도를 바탕으로 향후 발음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Korean complex (double) final consonants among intermediate and advanced foreign learners residing in the Busan area. Focusing on 11 types of complex final consonants, the study investigates learners’ perception patterns and the degree to which their recognition aligns with standard pronunciation norms. Based on the results, learners’ recogni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levels to identify trends and discrepancies in their perception of each consona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x final consonants with generally high recognition rates include ㄳ, ㄽ, ㄻ (in nouns), ㄵ, ㄶ, ㅀ (in verbs), and ㅄ (in both nouns and verbs). Second, although less consistent, ㄻ and ㄼ (in verbs) also showed relatively high recognition. Third, the consonant ㄾ (in verbs) was found to cause confusion, indicating the need for more focused instruction. Lastly, ㄼ and ㄿ (in verbs), along with ㄺ (in both nouns and verbs), showed particularly low recognition rates. Among them, ㄼ was consistently misrecognized as [ㄹ] regardless of vocabulary context, while ㄺ showed higher accuracy when followed by the consonant ㄱ, compared to ㄷ or ㅈ. In particular, ㄺ was identified as a highly confusing type for learners in both nominal and verbal contexts, making it especially challenging for foreign learners. Therefore, these consonants require careful and intensive pronunciation instruct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eaching complex final consonants to foreign learners of Korea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tting future directions in pronunciation education based on learners’ recognition levels.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내용
4. 겹받침 발음의 표준 발음 인식도 분석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