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vergence of AI Chatbot and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of Home-Bound Disabled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김명미(Myung-Mi Kim) 권정현(Jung-Hyeon Kw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20권 제2호, 465~4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가장애노인의 범불안장애(GAD)의 치료를 위한 AI챗봇과 재활운동의 융합 방안이다. 우선 의료사각지대의 재가노인의 범불안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 AI챗봇과 재활운동의 융합함으로써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장려하고 재활 운동 데이터를 구축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통합형 건강 관리가 될 수 있게 하는 의료와 운동의 통합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노인의 불안장애를 완화하기 위해 AI챗봇과 재활운동의 융합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 표현이다. 둘째. 재활운동의 정보 제공이다. 셋째. 심리적 지원이다. 넷째. 일상적 대화이다. 그러므로 범불안장애로 인한 노인 자살률을 낮추고 노인들이 더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approach combining AI chatbots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to trea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in with home-bound disabled elderly. By addressing the healthcare gaps experienced by these individuals, this integration aims to enhance the connection to rehabilitation exercises, establish exercise data, and deliver a comprehensive service that unites medical care and rehabilitation. The integration of AI chatbots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is expected to yield several benefits in alleviating anxiety disorders among the elderly. These include promoting emotional expression,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offer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facilitating everyday conversations. Ultimately, this approach strives to reduce suicide rates associated with GAD among elderly individuals and empower them to lead healthier and more independent lives.
목차
Ⅰ. 서 론
Ⅱ.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Ⅲ. AI챗봇과 재활운동의 융합적 기대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