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rchitecture Design of 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김수동(Su-Dong Kim) 문채주(Chae-Joo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20권 제2호, 313~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배전자동화시스템은 원격에서 배전설비를 감시·제어하여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1990년대부터 전력 계통의 기본적인 모니터링과 소규모 제어를 담당하며 초당 약 100건을 처리하여 전력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켰지만, 지금의 배전계통 복잡성과 다중 방향성을 다루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계된 차세대 배전자동화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 예측 기반 계통제어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였다. 실증 결과를 보면 초당 700건 이상의 데이터 처리, 대규모 알람 발생 시 1초 이내 응답 시간 유지, 클러스터링 기반 서버 관리로 데이터 손실 방지 등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전력 설비 유지보수 비용 절감, 계통 안정성 향상, 신재생에너지 활용 촉진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DAS) enhances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of power supply by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distribution facilities. Since the 1990s, it has been responsible for basic monitoring and small-scale control of power systems, processing approximately 100 transactions per second to improve power supply stability. However, it struggles to handle the increasing complexity and multi-directional nature of modern distribution network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study proposes a 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ADMS) designed with cloud-based architectur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echnologies. Test results of the ADMS demonstrate its reliability and efficiency, with over 700 transactions processed per second, response times maintained within one second during large-scale alarm occurrences, and data loss prevention through clustering-based server management. Therefore, this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power facility maintenance costs, enhancing grid stability, and promoting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목차
Ⅰ. 서 론
Ⅱ. DAS 구조분석 및 ADMS 설계
Ⅲ. ADMS 성능시험
Ⅳ. 성능시험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