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Future Water Supply Capacity Based on Multipurpose Dam Operation Methods in Seomjin River Watershed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원진(Wonjin Kim) 최시중(Sijung Choi) 강성규(Seonggyu Kang) 우소영(Soyoung W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2호, 121~12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섬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댐 운영방식과 공급 우선순위에 따른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의 세 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물 부족 특성을 분석하였고, 확률분포함수 적합을 통해 물 부족 패턴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일정량 공급방식과 부족분 공급방식, 두 가지 운영방식을 비교한 결과, 일정량 공급방식은 일관된 물 공급을 보장하지만, 가뭄 시 회복력이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부족분 공급방식은 물 공급의 유연성을 증대시켜 높은 신뢰도와 회복도를 보였으나 시설물 공급능력에 따른 지역 간 공급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해 혼합 운영방식의 도입이 효과적임을 제시하며, 향후 수자원 정책 결정 시 적응적이고 지역 맞춤형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essed the water-supply capacity of the Seomjin River Basin, focusing on dam operation methods and supply priorities. Water scarc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metrics,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were applied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water shortage patterns. Comparing firm and deficit supply operation methods, firm supply was found to ensure consistent water distribution across regions, but showed limited resilience during droughts. In contrast, a supply deficit increased flexibility in water delivery, enhancing reliability and resilience in certain areas despite leading to imbalances across regions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hydraulic structur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hybrid approach can effectively address these disparit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daptive region-specific strategies in future water resource policymaking.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공급능력 평가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