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Impact of Disaster Resilience on Disaster Damage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동아현(Ah Hyeon Dong) 강정은Jung Eun Ka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2호, 47~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가하는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피해에 대응하기위해 재난회복력의 개념을 활용하여 현재 지역사회의 재난회복력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난회복력을 저항, 복구, 전환으로 구성하고, 사회회복력, 경제회복력, 인프라회복력, 제도회복력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회복력에 대하여 5개의 측정변수를 선정하고 총 60개의 측정변수를 바탕으로 재난회복력지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재난회복력 지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재난 피해액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간 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재난 피해액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간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난회복력지수와 재난피해액 간의 음(-)의 관계가 도출되어, 재난회복력이 좋은 지역에서 재난피해의 영향이 작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d measured a disaster resilience index for local communities by utilizing the concept of “disaster resilience” to address the increasing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related disasters.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conceptualized disaster resilience into three components: resistance, recovery, and transformation. It further categorized resilience into four dimensions: social, economic, infrastructure, and institutional resilience. For each dimension, five measurement variables were selected, resulting in 60 measurement variables used to develop the disaster resilience index.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dex, its relationship with actual disaster damage was investigated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a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ster resilience index and disaster damage, confirming that regions with higher disaster resilience experienced lower impacts from disasters.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정책함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