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lementary Students’ Inquiry into the Order of Operations with Addition and Subtraction, Addition and Multiplicati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은(Seungeun Lee)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1호, 69~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덧셈과 뺄셈, 덧셈과 곱셈의 혼합계산 순서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탐구 양상을 5학년 한 학급의 수업을 통해 알아보았다. 처음에 학생들은 외적 권위에 의존하여 수동적으로 규칙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대안적인 계산의 가능성이나 규칙의 이유에 관한 관심이 적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시작한 탐구 과정에서, 학생들은 덧셈과 뺄셈, 덧셈과 곱셈의 계산 순서와 관련하여 제기된 다양한 이슈를 논의하면서 진전을 이루어갔다. 본 논문에서는 혼합계산 순서를 소재로 한 초등학생들의 탐구에서 나타난 양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식의 유연한 처리의 의의와 주체성의 교육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혼합계산 순서는 식을 양적 변화 및 구조와 연결하여 이해하며 유연하게 처리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소재이자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마음의 성향을 기르는 교육의 소재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students’ inquiry into the order of operations with addition and subtraction and the order of operations with addition and multiplication in a fifth-grade classroom. At the beginning, students passively accepted the rules for the order of operations based on external authority, with little interest in possibility of alternative calculations or the reasons for the rules. However, as their inquiry progressed, students faced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order of operations and made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ules through class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discusses two key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e order of operations can be a good material for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to handle numerical expressions flexibly. Second, the order of operations offers a meaningful context for students to fulfill their subjectivity and develop into autonomous and responsible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수업의 실행과 분석
Ⅳ. 덧셈과 뺄셈의 계산 순서에 관한 학생들의 탐구 양상
Ⅴ. 덧셈과 곱셈의 계산 순서에 관한 학생들의 탐구 양상
Ⅵ. 논의
Ⅶ.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