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edia reports on digital textbooks using keyword networks and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현(Ji Hyun Kim) 나정현(Jung Hyun 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599~6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24년까지의 국내 언론보도를 대상으로 디지털교과서 관련 담론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국내 언론보도 자료 제공 플랫폼인 빅카인즈(BIGKINDS)에서 ‘디지털교과서’, ‘AI교과서’ 등의 키워드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 동출현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정책적, 교육적, 기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이슈와 연계되었으며,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는 ‘교육’, ‘디지털’, ‘AI’, ‘학교’, ‘콘텐츠’ 등의 키워드가 주요하게 등장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에서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 AI 기반 학습 혁신, 교육 격차 해소, 디지털 콘텐츠 개발, 정책 지원 등의 10개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의 언론 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 정책과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discourses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in domestic media reports from 2007 to 2024.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BIGKINDS, a domestic media report data provision platform, with keywords such as ‘digital textbook’ and ‘AI textbook’, and key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Results Digital textbooks were linked to various issues in terms of policy,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keywords such as ‘education’, ‘digital’, ‘AI’, ‘school’, and ‘content’ appeared mainly in keyword frequency analysis. Topic modeling analysis derived 10 major topics such as digit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I-based learning innovation, resolving the education gap, digital content development, and policy support.
Conclusion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media discourses on digital textboo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policies and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