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complex trauma experiences on cyber delinqu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원정(Wonjung Jung) 전효정(Hyojeong J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7호, 549~5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복합외상경험과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5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변수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또한 AMOS 21.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부트스트랩(Bootstrapping)를 실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성별 차이를 확인하는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복합외상경험은 사이버비행, 우울,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복합외상경험이 사이버비행으로 가는 경로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합외상경험은 우울과 공격성의 단일매개나 다중매개없이 직접적으로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경로모형에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있어 복합외상경험과 우울, 공격성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문제 행동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cyberdelinquency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from a total of 454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In addition,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perform bootstrapping, and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Finally,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gender differences.
Results First, complex trauma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yber delinquency, depression, and aggress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path from complex trauma experiences to cyber delinquen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complex trauma experiences directly affected cyber delinquency without single or multiple mediation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 model.
Conclusion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complex trauma experi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dolescents cyber delinquency, thereby promoting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and providing practical ground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