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Studies of Student Agency in Spoken Language Activities within Korean Language Classes Focused on Litorac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섭(Dongseop Kim) 박성석(SeongSeog Park) 장성민(Sungmin Chang) 정민주(Minju Chung) 최영인(Youngin Choi) 백정이(Jeongyi Baik) 김예원(Yewon Kim) 음소현(Sohyun Eum) 민병곤(Byeonggon Min)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39~8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리토러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수업의 요건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 학습자 주도성이 리토러시 활동 중심 수업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방법: 복수사례연구로서, 구어 능력은 높으나 문어 능력이 낮아 리토러시가 불균형한 2명의 학습자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10차시 프로젝트 수업의 전사본, 활동 자료, 사후 면담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결과: 첫 번째 사례인 지영은 주로 과제 해결 중심의 구어 활동을, 두 번째 사례인 도하는 관계 지향적 맥락에서의 구어 활동을 주로 수행하였다. 두 학습자가 구어 활동을 수행하는 양상의 차이는 의사소통 양식의 선택과 활용 과정에서 나타나며 이는 학습자 주도성의 실현과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리토러시 수업은 학습자의 리토러시 능력에 대한 세밀한 진단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 사용의 경험과 강점을 활용한 약점 보완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마다 서로 다른 강점의 특성과 개별 학습 스타일을 고려하고 존중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wo learners with strong oral communication skills to explore how student agency is demonstrated in litoracy-focused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of effective litoracy class. Methods: Adopting a multiple case study design, this research analyzed two learners exhibiting imbalanced litoracy—characterized by high oracy skills and low literacy proficiency. Data were drawn from transcripts of 10 project- based instructional sessions, learner-generated activity outputs, and post- interview transcript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learners demonstrated student agency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oral skills to solve tasks and address challenges, or engaging in collaborative communication within relational contexts. Conclusion: The findings point to the following key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litoracy instruction. First, litoracy class must be grounded in a detailed assessment of each learner’s litoracy abilities. Second, litoracy clas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engage in integrated language use and to leverage their strengths to compensate for their weaknesses. Third, it should respect individual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대상
4. 사례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