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ert Interview Study on Enhancing the Discussion Model and Evaluation Criteria for University Reading Debate Competi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백목원(Mokwon Baik) 서정혁(Jeong-Hyok Seo) 신희선(Heesun Shi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315~3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숙명여대에서 개최되고 있는 독서토론대회 개선안을 모색하기 위해 독서토론대회 심사에 참여했던 교수를 대상으로 진행된 토론전문가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독서토론대회의 토론 모형과 심사 방식의 적절성을 검토하였고 차기 토론대회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논의하였다. 전문가 면담을 통해 독서토론대회 운영 방식으로 지정도서 선정, 논제 선정문제, 온라인 운영 문제가 거론되었고, ‘독서’가 보다 강조되는 토론모형과 비판적 협력을 도모하고 논의가 심화되는 토론 방식이 제안되었다. 독서토론의 평가 방식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저서 요약 및 발제 능력, 저서 분석 능력, 비판 능력, 의견 개선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주요한 능력으로 평가할 것이 강조되었다. 이를 토대로 차후 독서토론대회의 운영 방식, 독서토론모형, 평가 방식을 수정 보완하는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능력 함양과 비판적 사고력,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보다 발전적인 독서토론대회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interviews with debate experts who participated as judges in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held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o explore possible improvements to the competition. The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bate model and evaluation methods used in the competition and discusses new strategies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in future iterations. The interviews highlighted key issues related to the competition’s operation, including the selection of designated books, the formulation of debate topic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online implementation. As for the debate model, a format that places greater emphasis on ‘reading’ and fosters critical collaboration and in-depth discussions was proposed. Regarding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ssessing students’ abilities in summarizing and presenting books, analyzing texts, demonstrating critical thinking, and refining opinions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revisions to the competition’s management, debate model, and evaluation methods to enhanc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ultimately fostering a more advanced and meaningful reading debate competition.
목차
1. 서론
2. 숙명여대 토론대회 변천과정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