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cess of Trust Formation in AI Human Chatbots :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Opinion Leaders’ and General Users’ Speech Compet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유희승(Hee Seung Yu)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7호, 1083~1126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휴먼 챗봇 이용자의 유형(일반 vs. 오피니언 리더) 간스피치 역량,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 신뢰도의 차이를 탐구하고, 이용자의 유형과 스피치 역량,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 신뢰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국적의 20대 이상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AI 휴먼 챗봇을 경험하게 하고, 일반 이용자 집단과 오피니언 리더 이용자 집단을 비교하는 단일요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참자가를 일반 이용자와 오피니언 리더 이용자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스피치 역량과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 AI 휴먼 챗봇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스피치 역량, 인지된 상호작용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AI 휴먼 챗봇에 대한 신뢰도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오피니언 리더 이용자 집단이 일반 이용자 집단에 비해 스피치 역량,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자의 유형이 AI 휴먼 챗봇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이용자의 스피치 역량과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AI 휴먼 챗봇 이용자의 유형이 이용자의 스피치 역량과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을 거쳐 AI 휴먼 챗봇에 대한 신뢰도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교육 전략과 AI 휴먼 챗봇 개발 및 도입의 방향성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speech competence,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and trust in AI human chatbots between general users and opinion leaders. Furthermore, it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type, speech competence,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and trust in AI human chatbots. To this end, an experiment with a single-factor design was conducted, involving 240 South Korean adults aged 20 and older who had experience with AI human chatbot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users and opinion leader groups, and their speech competence,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and trust in AI human chatbots were compared. Additionally, user type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le speech compet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were treated as mediating variables, to analyze their structural effects on trust in AI human chatbo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inion leader users exhibited higher levels of speech competence,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and trust in AI human chatbots compared to general users. Second, the effect of user type on trust in AI human chatbots was fully mediated by speech compet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This study elucidate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user type influences trust in AI human chatbots via speech compet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qu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work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strategies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I human chatbo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