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Game Literacy Education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이아람찬(Aramchan Lee)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7호, 597~6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게임 리터러시 교육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게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올바른 활용법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게임 리터러시 교육은 컴퓨터 및 모바일 게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돕기 위해 진행된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게임 리터러시 교육은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학교, 도서관, 온라인 플랫폼 등에서 다양한 게임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게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활용방안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둘째, 교육용 게임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 교육자는 게임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문제 해결 능력, 협력, 의사소통 기술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게임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는 교육이 진행되며, 게임 중독, 폭력성, 온라인 괴롭힘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다루고 이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마지막으로,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들이 학생들의 게임 이용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청소년, 유아, 가족, 교사, 부모 등 다양한 대상에게 게임의 긍정적 활용과 교육적 가치를 확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e Republic of Korea, game literacy education is operated primarily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the Game Culture Foundation with the aim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games and educate on their proper usage. It is conducted to improve comprehension of computer and mobile games while teaching appropriate ways to utilize them. L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the Game Culture Foundation, various institutions collaborate to provide these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game literacy education is categorized into four main types.
First, diverse game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re implemented in schools, libraries, and online platforms, with the goal of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promoting positive game utilization. Second, educational game content is being developed, and some educators incorporate games as learning tools to help students develop problem-solving abilitie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ird, education aimed at spreading a positive perception of games is conducted, addressing negative aspects such as game addiction, violence, and online bullying, while teaching ways to improve awareness of these issues. Lastly,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plays a crucial role, helping them understand and effectively guide students’ game usage.
Through these efforts, game literacy education focuses on expanding the positive utilization and educational value of games for various audiences, including youth, children, families, teachers, and parent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게임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3. 게임 리터러시 교육의 양상
4. 나오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