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 Transcendental Task and Heidegger’s Accepting Process of Historicity : through Husserl and Dilthey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김경배(Kyung Bae Kim)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7호, 127~1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관 의식이 내부가 아닌 언제나 바깥을 향한다는 현상학의 초월론적 과제를 하이데거가 어떻게 인수하는지 그 과정을 탐문한다. 이 목적에서 본 연구는 하이데거가 어떻게 후설의 과제를 딜타이를 통해 전유하고 배제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 둘을 통합하는지 살펴본다.
처음부터 존재와 씨름한 하이데거는 시간을 통해 전통적인 존재물음의 한계를 지적하고, 물음의 방향을 역사적으로 인수한다. 그 단초가 후설이며, 하이데거는 후설을 통해 실재의 문제를 탐문하는 한편, 딜타이를 통해 그의 과제를 역사적으로 인수한다. 즉 하이데거는 후설과 딜타이를 넘어 현존재 이해의 존재론적 우월성을 강조하는 한편, 그 이해를 인간의 존재방식으로 환원한다. 그리고 그는 인간의 학문적 인식과 정신적 인식 모두 현존재에서 생기한다고 간주하고, 해석학적 존재성을 기투(Entwurf)에서 입증하기 위해 후설과 딜타이에게서 이탈한다. 그런데 후설과 딜타이로부터의 이탈은 그들에 대한 배제가 아니라 오히려 통합을 요구였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인식론적 전제에서 길러진 인간에 대한 명백한 가정들에서 벗어나 인간의 역사성을 이해하기 위해 후설과 딜타이의 초월론적 과제를 새롭게 인수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eidegger take over a transcendental task of phenomenology that a subjective awareness is always directed outward rather than inward. In this purpose, this examine how heidegger appropriates and rules out husserl’s task through dilthey, and how integrates them.
Heidegger has contended with the question of being from the beginning. He has pointed out the limit of traditional question of being and historically reformed a direction of the question. The motive is husserl and dilthey, Heidegger has investigated the question of a reality ontologically and has taken over the task historically. In other words, Heidegger has gone over husserl and dilthey, has emphasized the ontological superiority of Dasein’s understanding, meanwhile turning the understanding to a mode of human being. He has regarded both human scientific knowledge as emerging in Dasein, and has left husserl and dilthey in order to prove the hermeneutic beingness from projection. But the leaving from them has asked heidegger for putting them together rather than ruling them out. Thus heidegger has broken away from the obvious assumption raised by the epistemological premise, and has newly accepted their task in order to understanding human historicity.
목차
1. 서론
2. 초월론적 과제의 ‘주어져 있음’ 문제
3. 초월론적 과제의 역사성 인수 문제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