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formation aspect of Gyobangjeongjae through analysis of Gyobangjeongjae material from “Gyobanggayo” : Based on the Three elements of Performing Arts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강인숙(In Sook Kang)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7호, 15~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이 연구 목적은 공연예술 시각에서 『교방가요』소재 교방정재를 분석하고, 교방정재의 변모양상을 통해 교방정재의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교방문화는 궁중문화와 민중문화 사이에 위치하며, 지역적 요소가 접목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교방정재는 대부분 궁중정재에서 유래하였고, 지역 문화에 맞게 변형된 교방문화의 꽃이다.
『교방가요』는 19세기 교방정재의 실상을 드러낸 기록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교방가요』에 수록된 교방정재의 양상을 무용학 시각인 공연예술의 3요소를 준거 틀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방정재의 변모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현행 교방정재가 공연예술로써 한계성에 도달하여 다른 공연예술과 차별성을 지니지 못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미래 발전적인 교방정재의 활용을 위하여 향후 교방정재는 가무악이 통합된 종합예술로 재맥락화되어야 하며, 다양한 공연형태를 통해 향유자의 흥미를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궁중정재를 단순한 무용공연이 아닌 연향 속의 하나로 보고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문화콘텐츠 활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는 공연예술 시각에서 교방정재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여 미래 방향성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Gyobangjeongjae, which is based on the material of “Gyobanggayo”,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ing arts and to explore desirable development methods for Gyobangjeongjae through its transformation patterns. Gyobang culture is situated between court culture and folk culture,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regional elements. Thus, Gyobangjeongjae mostly derives from court dances and represents the flower of Gyobang culture, which has been adapted to fit local cultural contexts.
“Gyobanggayo” is a record that reveals the realities of Gyobangjeongjae in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s the aspects of Gyobangjeongjae included in “Gyobanggayo” using the three elements of performing arts as a framework from the perspective of dance studies. This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current Gyobangjeongjae has reached a limitation as a performing art and lacks distinctiveness compared to other performing arts.
To promote the future development of Gyobangjeongjae, the researcher believes it should be recontextualized as a comprehensive art form that integrates dance, music, and drama, while also stimulating the interest of audiences through various performance formats. Additionally, it is essential to utilize cultural content that assigns new value to court dances, viewing them not merely as dance performances but as part of a larger performance context.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past and present of Gyobangjeongjae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ing art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교방의 무용사적 의미
3. 공연예술을 바탕으로 한 『교방가요』 소재 교방정재 분석
4. 『교방가요』 소재 교방정재의 변모양상
5. 나가는 말 : 현행 교방정재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모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