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and manual therapy focusing on the upper cervical spine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dizziness
이용수 6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하선영(Sun-Young Ha) 성윤희(Yun-Hee Sung)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비특이적 어지럼과 목 통증은 환자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비특이적 어지럼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상부 경추에 초점을 맞춘 수기치료와 전정재활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전정 기능에 문제가 없으나 목 통증을 호소하는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에는 상부 경추에 초점을 맞춘 수기치료와 전정재활치료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에는 전정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모든 그룹의 중재는 주 5회, 세션당 30분씩 총 2주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고유수용성 감각 평가를 위해 관절 위치 오류(Joint Position Error, JPE)를 측정하였고, 어지럼을 평가하기 위해 어지럼장애척도(Dizziness Handicap Inventory, DH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JPE 평가에서 굴곡 및 우측 회전 시 차이 값(사후-사전)에서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또한, DHI의 신체적 영역과 총점 값에서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비특이적 어지럼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어지럼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중재로 상부 경추에 초점을 맞춘 수기치료와 전정재활치료가 유용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Non-specific dizziness and neck pain can significantly impact daily lif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focused on the upper cervical spine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dizziness. A total of 25 patients with neck pain but no vestibular dysfunc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anual therapy focused on the upper cervical spine along with vestibular rehabilit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underwent only vestibular rehabilitation. Both groups received interventions five times per week, for 30-minute sessions, over a period of two weeks. Joint position error (JPE) was measured to assess proprioception, and the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DHI) was used to evaluate dizzines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ost-treatment JPE measurements for flexion and right rotation.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the physical domain and total score of the DHI. The findings suggest that manual therapy focused on the upper cervical spine, combined with vestibular rehabilitation, may serve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improving proprioception and reducing dizziness symptoms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dizzines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