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Question Trends in the Secondary Moral and Ethics Teacher Examination Based on PCK: Focusing on questions from the 2020-2025 academic yea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jin Kim) 권누리(Noo Rie K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6호, 867~8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을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관점에서 분석하여, 기존 시험이 교사 전문성을 균형 있게 평가하는지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20학년도부터 2025학년도까지 시행된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 문항 138개를 수집하고, PCK 기반 분석틀을 활용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시험 문항은 ‘지식’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도덕 발달 심리학과 서양 윤리 사상 등 주요 개념이 체계적으로 평가되었으며,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요소에 해당되는 문항은 일부 PCK 요소와 통합되어 출제되었다. 그러나 단편적인 암기 능력을 요구하는 평가 문항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학습자’, ‘평가’, ‘교육환경’ 요소는 출제되지 않았다.
결론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임용시험이 예비 교사의 교수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PCK 요소 간의 균형 및 통합을 고려한 문항 출제가 필요하며,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맞춘 평가 체계 개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question trends of the secondary moral and ethics teacher exa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Specifically, it examines whether the current examination effectively assesse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ies in a balanced manner and explores direc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A total of 138 questions from the secondary moral and ethics teacher examination administered between the 2020 and 2025 academic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PCK-based analytical framework.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amination questions primarily focused on the “knowledge” component, systematically assessing key concepts such as moral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Western ethical theories. Some questions incorporated elem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aligning with certain PCK components. Howev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questions required only rote memorization, while key PCK elements such as “learner,” “assess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not reflected in the examination.
Conclusion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prospective secondary moral and ethics teachers, the examination should incorporate a more balanced and integrated approach to PCK components. Additionally, the assessment framework must be improved to align with contemporary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