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 among Teacher’s Rights, Teacher Core Competencies, Occup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황현경(Hyun Kyung Hwang) 김보현(Bo Hyun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115~1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원의 교권과 교사핵심역량, 직업정체성의 하위변인, 전직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한국어교원 40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어교원의 교권은 감정이입, 일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핵심역량과 직업정체성의 하위변인들 간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정체성의 하위변인이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직업 부합과 일체감은 부(-)적 영향을, 감정이입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직업정체성 하위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한국어교원의 교권이 감정이입을 매개로 전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며, 일체감을 매개로 전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핵심역량이 개인-직업 부합과 일체감을 매개로 전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하며, 교사핵심역량이 감정이입을 매개로 전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원의 교권 확립을 위한 방안 모색 및 교사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관리 및 지원, 직업정체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실행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eacher’s right, teacher core competencies, occup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Korean language teachers working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teacher’s righ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athy and unity,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re competencies and the sub-variables of occupational identity.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 of occupational identity has a negative (-) effect on individual-job conformity and unity, and empathy has a positive (+) effe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variable of occupational identity, the indirect effect of the teacher’s righ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the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through empathy was positively (+)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n the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unity was negatively (-)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of the teacher core competency on the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individual-job conformity and unity was negatively (-)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teacher core competency on the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through empathy was positively (+)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management and support,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to strengthen job identity are necessary to find ways to establish teacher’s right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mprove teacher core compet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