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현대구전설화의 남녀 화자별 이야기 지형 연구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the Narrative Landscape of Modern Personal Narrative by Male and Female Narrators through Related-Word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Additional edition of the Korean Oral Literature Serie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한유진(Yu-jin Ha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3輯, 135~16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현대구전설화를 대상으로 남녀 화자별 이야기 지형을 파악하고 서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 DB화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명사 빈도수에 기반한 통계적 방법과 동시 발생 단어쌍에 의한 연관어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2,040편의 현대구전설화를 스크래핑하여 분석을 위한 테이블 데이터를 구축한다. 그런 다음 테이블 데이터에서 이야기의 제목만을 추출하여 남녀 화자별로 말뭉치를 생성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전처리한 후 명사를 추출하여 개별 빈도수를 확인하고 동시 발생 단어쌍을 추출하여 연관어 네트워크 그래프로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남성화자들은 소재적 차원에서 도깨비, 호랑이, 귀신 등의 신이체험담과 전쟁체험담을 관심 있게 구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형적 차원에서는 ‘도깨비’ 소재 이야기의 경우 <도깨비에 홀린 사람>, <도깨비와 씨름한 사람>, <도깨비불>과 같이 갑작스러운 죽음이나 불가사의한 사건에 대한 경험담이 주를 이루었다. ‘호랑이’ 이야기는 ‘호랑이 새끼’와 관련한 경험담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전쟁체험담과 홍범도, 홍순칠, 김병화, 신익화와 같이 근현대 역사 인물담 유형은 남성화자 특유의 구연 유형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화자들은 소재적 차원에서 도깨비, 호랑이, 귀신 등의 신이체험담과 구렁이담, 가족담을 흥미롭게 구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도깨비, 호랑이 소재에 대한 이야기적 관심은 남성화자들과 공통되지만 구체적 이야기 유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즉 ‘도깨비’ 소재 이야기의 경우 여성화자들은 남성화자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도깨비로 변한 피 묻은 빗자루> 이야기를 활발하게 구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유형이 특정 행동에 대한 규범적 지식을 전수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월경이라는 공통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여성을 향한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호랑이’ 소재의 경우 <나물 바구니 물어다 놓는 호랑이>가 여성화자 특유의 구연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이 ‘나물 캐기’라는 생활사적 경험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여성화자들은 특히 ‘업구렁이’ 이야기를 흥미롭게 구연하였는데 이는 가신(家神)으로 업신을 숭앙한 주체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며느리’ 이야기도 여성화자 특유의 구연 유형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topography of the stories acc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narrato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stories according to the narrators, targeting modern personal narrative included in the 『Additional edition of the Korean Oral Literature Series』. This was done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ompendium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frequency of nouns and the network technique of related words using co-occurring word pair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o this end, we first scrape 2,040 modern personal narrative from the digital archiv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Oral Literature to build table data for analysis. Then, we extract only the story titles from the table data to create a corpus for each male and female speaker. After preprocessing these data, we extract nouns to check their individual frequencies, and extract co-occurring word pairs to visualize them as a network graph of related word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ale narrators were interested in mysterious story such as goblins, tigers, and ghosts, as well as stories about war, in terms of subject matter. In terms of type, in the case of stories about ‘goblins,’ stories about sudden death or mysterious events, such as A person possessed by a goblin, A person who wrestled with a goblin, and ignis fatuus, were the main types. In the case of ‘tigers,’ stories were mostly stories about ‘tiger cubs.’ On the other hand,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in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and stories abou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figures such as Hong Beom-do, Hong Soon-chil, Kim Byeong-hwa, and Shin Ik-hwa were found to be oral traditions unique to male narrators. On the other hand, female narrators were found to be interested in mysterious story such as goblins, tigers, and ghosts, as well as snake stories and family stories. In this way, the narrative interest in goblins and tigers was common with male narrator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pecific types of storie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goblin’ story, female narrators were found to actively tell the story of The Bloody Broom That Turned into a Goblin, which was not found in the male narrators. This may be because this type of story is aimed at women who have a common experience of menstruation, as it functions to transmit normative knowledge about specific behaviors. In the case of the ‘tiger’ story, The Tiger Putting Down a Basket of Wild Vegetables was found to be a storytelling type unique to female narrators. This is because women are in a position where they can easily share the life experience of ‘picking wild vegetables’. On the other hand, female narrators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elling the story of ‘Upgureongi’,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subject who worshipped Upsin as a household god. And the story of the ‘daughter-in-law’ also appeared as a type of storytelling unique to female narrators.

목차

1. 서론
2. 현대구전설화의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 과정
3. 남녀 화자에 따른 구연 유형의 차이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유진(Yu-jin Han). (2025).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현대구전설화의 남녀 화자별 이야기 지형 연구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어문연구, (), 135-166

MLA

한유진(Yu-jin Han).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현대구전설화의 남녀 화자별 이야기 지형 연구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어문연구, (2025): 135-16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