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기 관계 분석을 통한 ‘달다’와 ‘쓰다’의 의미 확장 연구

이용수 42

영문명
A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dalda(sweet)’ and ‘sseuda(bitter)’ through Collocational Analysi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윤위(Wei Yin) 이래호(Rae-ho L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3輯, 57~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말뭉치 자료의 공기 관계 분석을 통해 한국어 미각 형용사 ‘달다’와 ‘쓰다’가 어떤 명사, 동사와 공기 관계를 이루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두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의 <문어말뭉치>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말뭉치에서 ‘달다’와 ‘쓰다’와 2회 이상 공기하는 단어들을 통해 ‘달다’와 ‘쓰다’의 미각적 의미와 확장 의미 양상을 분석하였다. ‘달다’와 ‘쓰다’는 미각적인 의미를 넘어 다양한 감각 및 정서적인 영역에서 의미 확장 양상을 보인다. 확장 과정에서 ‘달다’는 [긍정적 평가], [만족감], [정서적 안정감], [긍정적 태도] 등 추상적 의미 자질을 가지며 전반적으로 긍정적 의미 양상을 나타내며 ‘쓰다’는 [부정적인 감정], [부정적인 심리상태] 등의 정서적인 의미 자질을 가지며 부정적인 의미를 보여준다. 비교 분석한 결과, 두 형용사는 확장된 의미 영역에서는 일정한 대립 관계를 보인다. ‘달다’는 [좋음], [행복함]등 긍정적인 의미 자질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반면에 ‘쓰다’는 [싫음], [고통스러움] 등 부정적인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의미적 대립은 각 형용사의 공기어 선택에서도 명확히 드러났다.

영문 초록

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llocational relationships of the Korean taste adjectives dalda (‘sweet’) and sseuda (‘bitter’) with nouns and verbs through a corpus-based analysis and to compare their patterns of semantic extension. For this research, the Written Language Corpu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used as the data source. By examining words that co-occur at least twice with dalda and sseuda in this corpus, this study analyzes their primary taste-related meanings and their extended semantic patter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adjectives extend beyond their basic gustatory meanings to various sensory and emotional domains. In this process, dalda acquires abstract semantic features such as [positive evaluation], [sense of satisfaction],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attitude], generally maintaining a positive connotation. In contrast, sseuda develops emotional semantic features such as [negative emotions] and [negative psychological states], displaying an overall negative connota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these two adjectives exhibit a certain degree of opposition in their extended meanings. While dalda consistently retains positive semantic attributes such as [pleasantness] and [happiness], sseuda extends to negative meanings such as [unpleasantness] and [painfulness]. This semantic opposition is clearly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co-occurring words for each adjectiv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달다’와 ‘쓰다’의 공기어 분석
4. ‘달다’와 ‘쓰다’의 공기 관계 및 의미 자질 비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위(Wei Yin),이래호(Rae-ho Lee). (2025).공기 관계 분석을 통한 ‘달다’와 ‘쓰다’의 의미 확장 연구. 어문연구, (), 57-84

MLA

윤위(Wei Yin),이래호(Rae-ho Lee). "공기 관계 분석을 통한 ‘달다’와 ‘쓰다’의 의미 확장 연구." 어문연구, (2025): 57-8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