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f Cultural Adaptation and Korean Learning Motivation Among Beginner-level Exchange Student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민주(Minju Kim)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63~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환학생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과 학습 동기를 토대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환학생 1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을 통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환학생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한 결과, 3개의 집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은 ‘학습 목표 미설정 학습자’, ‘문화적 관심 기반 학습자’, ‘목표 지향적 학습자’로 명명하였다. 둘째,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검증한 결과, ‘목표 지향적 학습자’ 유형이 가장 높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문화적 관심 기반 학습자’, ‘학습 목표 미설정 학습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환학생 대상 초급 수준의 한국어 수업 설계에 대한 시사점과 한국어 교수-학습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beginner-level exchange students learning Korean based on their cultural adapt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cross these profiles. Data from 109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a 3-step approach for latent profile analysis,and the BCH method was employ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cross profiles.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latent profiles, labeled as “Goal-Unset Learner,” the “Culturally Motivated Learner,” and the “Goal-Oriented Learner.”Among these, “Goal-Oriented Learner” exhibited the highest self-regulated learning,followed by the “Culturally Motivated Learner” and the “Goal-Unset Learner.”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nstruc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for exchange stud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