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tical Scaling using a Scaling Test Desig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문수(Moonsoo Lee) 정지영(Jiyoung Jung) 양희원(Hee Won Ya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8권 제1호, 179~2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종단연구의 수직척도화를 위해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사용하는 방법인 공통문항 설계 대신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하여 수직척도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울학생종단연구 2020」에서 수집된 학생역량검사의 초등학교, 중학교 패널에 대한 국어, 수학, 영어 세 교과의 수직척도를 개발하였다. 수직척도 개발을 위해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동시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문항과 피험자 능력 모수를 추정하였다. 원점수에 해당하는 능력점수를 산출하고 척도점수로 선형 변환하였다. 분석 결과, 두 패널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역량이 증가하는 성장 패턴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수직척도는 서울 지역 초등학생, 중학생의 학업 역량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도구로, 학생 개별 성취도 변화와 교육 정책 효과 분석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a scaling test design approach to vertical scaling in longitudinal research, instead of the commonly used common-item design. For this purpose, vertical scales were developed for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anels using data from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scaling test design, and item and examinee ability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a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It was calculated with the ability score corresponding to the raw score and then linearly transformed into a scale score. The analysis confirmed a growth pattern in both panels, with competencies increasing as students advanced in grade levels. The developed vertical scale serves as a reliable tool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ademic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It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monitoring individual student achievement and evaluating the effects of educational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