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Pleasure that Children Experience in Art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홍은아(Eun Ah Ho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52~77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미술 수업에서 마주하는 즐거움의 본질에 대하여 반 매넌의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미술을 좋아하는 아동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생활세계의 실존을 드러내는 공간성, 신체성, 시간성, 관계성 네 개의 실존체에기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은 미술표현의 무한한 가능성, 재료나 주제, 표현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는 자율성이 주어지는 미술 창작이라는 공간을 통해자유로움의 즐거움(공간성)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아동은 손으로 재료를 느끼는촉각적 탐색 활동과 다양한 감각이 협응하고 통합되는 행위에서 감각적 몰입의즐거움(신체성)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아동은 할 수 있다는 자신감, 도전적 과제를해결하고 성취하고자 활동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자기 발전의 즐거움(시간성)을 느끼고있었다. 넷째, 아동은 미술 활동에서 교사나 동료들, 부모님과의 소통과 교감을 통하여상호작용의 즐거움(관계성)을 느끼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pleasure experiences children face in art classes. Eight children who liked ar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ir experiences were experienc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ur existences: spatiality, physicality, temporality, and relationship,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leasure of freedom (spatial), second, the pleasure of sensory immersion (physicality), third, the pleasure of self-development (time), and fourth, the pleasure of interaction (relationship).
목차
Ⅰ. 체험에 들어가며
Ⅱ. 수업의 즐거움
Ⅲ. 연구의 실제
Ⅳ. 미술 수업에서 아동이 경험하는 즐거움의 본질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