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riving User Experience Insights in Digital Healthcare Beauty Tech Services : Focusing on Skin Diagnosis and Management Functions in Beauty Tech Servic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고은희(Eunhee Koh)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252~26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디지털 헬스케어의 한 분야로서 뷰티테크는 점차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뷰티테크는 피부 건강을 포함한 개인의 웰빙과 예방적 관리를 지원하며, 헬스케어와 미용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뷰티테크는 단순히 미적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헬스케어의 한 분야로 확장되며, 사용자경험의 폭넓은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서비스디자인이나 사용자경험 측면에서의 뷰티테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에 관하여 살펴 보고, 출시된 대표적인 뷰티테크 서비스의 종류와 기능을 분석하여 이를 실증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증 연구에서는 거시 환경 분석 방법론(STEEP)을 기반으로 뷰티테크의 사회, 기술, 경제, 환경, 정치 영역에서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그룹토론(FGD)을 통해 진행된 도출된 사용자경험 인사이트의 객관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20~30대 남녀 20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서비스디자인의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FGD를 통해 동기부여, 개인 맞춤화, 커뮤니티라는 세 가지 사용자경험 인사이트 및 서비스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거시 환경 분석 결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용자경험 인사이트와 이에 기반한 서비스 기능은 뷰티테크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유용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임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s the types and functions of existing beauty tech product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mpirical research. The empirical study applies a macro-environmental analysis methodology to examine industry trends, particularly in the IT, cosmetics, and medical fields, providing a basis for in-depth interviews and deriving key insights.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followed by a focus group discussion using the Double Diamond model of service design to extract user experience insights. The study identified three key insights—motivation, personalization, and community— which were used to propose additional functions for beauty tech services. By integrating these insights, this research suggests user-centered design strategies that enhance engagement and satisfaction in beauty tech solution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beauty tech products, fostering cross-industry collabor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advancement of beauty tech services.
목차
1. 서론
2. 서비스디자인
3. 디지털 헬스케어로서의 뷰티테크
4. 뷰티테크 서비스의 동향 분석
5. 사용자경험 인사이트 도출
6.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