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을 통해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놀이 교수에 대한 의미: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98
- 영문명
- The Meaning of Play Teaching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van Manen's Phenomenological Resear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효진(Hyo-jin Jeon) 문혁준(Hyuk-jun M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1019~10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하며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놀이 교수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어린이집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 교사 8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 참여자들과 3회에 걸친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van Menen이 제시한 네 가지 실존체에 의해 주제를 분리하고 본질적인 주제를 분석하였다.
결과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 관계성을 기준으로 4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그에 따른 12개의 체험분류도 도출되었다. 신체성의 본질적 주제는 ‘유아와 함께하며 성장하는 교사’, 공간성의 본질적 주제는 ‘함께 만들어 가는 놀이 공간’, 시간성의 본질적 주제는 ‘놀이를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시간’, 관계성의 본질적 주제는 ‘유아, 교사, 기관, 가정이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을 통해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놀이 교수의 본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놀이 교수의 본질은 추후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 증진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 관련 척도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play teaching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while runni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8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running the curriculum at the day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organized in the four existentials presented by van Menen. Finally, the essential subject was analyzed with the data.
Results 4 essential themes and 12 experience classif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 The essential theme of lived body was analyzed as ‘a teacher growing with children’, the essential theme of lived space was ‘a play space created together’, the essential theme of lived time was ‘time to be secured for play’, and the essential theme of lived human relation was ‘a curriculum created by children, teachers, institutions, and famil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nature of play teaching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play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velop scales related to play teaching of th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