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with burnou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세희(Sehui Mun) 김주혜(Juhye Kim) 홍재영(Jaeyoung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997~10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소진을 분석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의 소진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으로는 2015년부터 2024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에 발표된 9편의 질적연구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Nobit 과 Hare(1988)가 제안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방법을 적용하여, 이들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의 소진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소진 경험은 정서적 소진, 신체적 변화, 소진 경험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소외감, 과도한 업무, 학생의 도전적 행동, 그리고 학교 공동체 내 관계가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의 소진을 극복하는 방법으로는 자기관리를 통한 회복력 증진, 조직 차원의 지원, 제도적 지원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해 설명하고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소진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질적 연구물들을 비교⋅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된 특수교사 소진 경험에 대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을 종합하여, 공통된 주제와 패턴을 식별하고 통합적인 이해를 도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특히,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복잡하고 다면적인 소진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urnout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as well as ways to overcome it.
Methods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qualitative studies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rnout experiences. Nine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KCI-indexed) from 2015 to September 2024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even-step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proposed by Noblit & Hare (1988) was applied to examine the burnout experiences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rnout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haracterized by emotional exhaustion, physical changes, an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resulting from burnout.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urnou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ed feelings of social isolation, excessive workload, students' challenging behaviors, and relationships within the school community. Third, methods for overcoming burnout included enhancing resilience through self-care,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xplains and synthesizes the burnout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derive comprehensive results.
Conclusions This study is compared, analyzed, and interpreted various qualitative studies to analyze the burnout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synthesizing in-depth and multifaceted perspective on burnout experiences presented in various studies, identifying common themes and patterns to achiev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ways to overcome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burnout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