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Longitudinal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유진(Youjin Shin) 정혜원(Hyewon Ch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933~9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과 환경 변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2018)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년도(2018년)부터 5차년도(2022년) 자료에 다층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ing)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 초깃값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자아존중감, 그릿, 교사관계, 친구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개인과 환경 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여 청소년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Methods Multilevel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data from the middle school first-year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KCYPS2018).
Results First,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ear decline over time. Second, positive predictors of the initial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cluded self-esteem, grit,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nd friendship. Third, academic achievement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higher academic performance may help slow the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over time.
Conclus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plored the changes i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over time using multilevel growth modeling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se changes. By identifying key factors that impact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strategies to enhance their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affecti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n various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