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Narratives on Supporting Children's Pla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택민(TaekMi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917~9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소수로 존재하는 남자유아교사의 ‘놀이 중심 교육’ 인식과 실제 놀이 지원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남자유아교사의 교육적 가능성과 과제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으며, 남자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과 근무환경 설문,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는 반복적 분석 과정을 통해 코딩⋅범주화하였고, 참여자 검토 및 동료 간 협의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남자유아교사들은 어릴 적 신체 놀이 경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유아 놀이에서 활발한 신체활동과 높은 허용 범위를 유지하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 음악⋅미술 등 예술 지원 역량이나 공감 능력에 한계를 느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지속하고 있었다. 학부모와의 소통, 동료 교사⋅기관장과의 협력 과정에서도 성별로 인한 부담과 장⋅단점을 동시에 경험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는 남자유아교사가 ‘놀이 중심 교육’에서 발휘할 수 있는 독자적 강점과 더불어, 체계적 지원과 협력이 필요한 영역을 함께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남자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교육 현장에서의 긍정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s of “play-based education” and the actual experiences of play support among the minority group of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otential and challenges specific to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Methods To achieve this,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was employed.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orkplace environment surveys, and researcher journal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iterative processes of coding and categorization, with findings validated through participant review and peer consultation.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positively perceived their childhood physical play experiences, which influenced their approach to maintaining active physical activities and a high degree of permissiveness in children’s play.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limitations in their ability to support artistic activities such as music and art, as well as in their empathetic capacitie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ey consistently explored various methods of improvement. Additionally, they experienced both advantages and challenges related to their gender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unique strengths that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bring to “play-based education,” as well as the areas where systematic support and collaboration are necessar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positive roles of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