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on Learning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through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소숙(Suk So) 김보경(Bo 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681~6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부정정서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북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와 부정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부정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은 정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및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부정정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도출된 결과를 통해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을 높이는 것은 대학생을 위한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가장 선제되어야 할 요건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질 높은 학습 콘텐츠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을 증진하고, 부정정서를 상쇄시킬 수 있는 숙달지향적 온라인 수업 환경 조성 방안을 탐색하는 교수자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confirm the influence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negative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was conducted on four-year college students Jeonbuk collected and analyzed for 470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1, verified th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through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were positive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Second, negative emotion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s well 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performance. Third, negative emotion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Conclusions The results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is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the implication was that instructo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explore ways to create a mastery-oriented online class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learners'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offset negative emotions based on high-quality learning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