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Eating Habit after Emotional Changes by Extrovert⋅Introvert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Ansan a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준(Mi Jun Choi) 김성영(Seong 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647~6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외⋅내향성의 감정변화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안산지역 고등학교 재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MBTI (Me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중 외⋅내향성에 따른 다양한 감정변화가 식습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응답, t-검정 및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기쁨, 즐거움, 편안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일 때는 외⋅내향성에 상관없이 ‘밥류 또는 면류’에 대한 선호도와 함께 남학생은 ‘외식’이 여학생은 ‘간식’ 섭취가 증가했다. 이에 반해, 슬픔, 분노,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일 때는 성별과 외⋅내향성에 상관없이 ‘과자류 및 초콜릿류’에 대한 선호도와 더불어 ‘결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외향은 내향보다 화가 났을 때(외향 3.07점, 내향 2.69점),(p<0.05)나 우울할 (외향 2.98점, 내향 2.59점),(p<0.05)때 식품섭취가 감정 안정화에 도움이 되었다. 남학생의 내향은 외향보다 탄수화물 및 단 식품의 섭취가 행복감을 상승시킨 반면(외향 3.23점, 내향 3.60점),(p<0.05), 여학생의 외향은 내향보다 탄산음료, 커피와 같은 기호음료 섭취(외향 3.41점, 내향3.04점),(p<0.05)와 포만감(외향 3.49점, 내향 3.04점),(p<0.01)이 행복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은 성별과 외⋅내향성에 상관없이 부정적인 감정일 때 단순당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와 결식이 증가했으며 남학생의 외향은 단 식품을, 여학생의 내향은 기호 음료의 섭취가 행복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등학생들의 부정적인 감정변화들이 나쁜 식습관의 형성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성별뿐만 아니라 외⋅내향성을 고려한 국가 차원의 다양한 영양교육 관련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ting habit after emotional changes by extrovert⋅introvert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n=340].
Methods Extrovert⋅introvert tendency was measured by using MBTI (Me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then, the effects of eating habit after emotional changes by extrovert⋅introvert tendency using multiple response, t-test, chi-square test.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having negative emotions like sadness, depression, anger increased eating ‘confectionaries and chocolates’ as well as ‘skipping meals’ regardless of gender and extrovert⋅introvert tendency. The boys of introvert tendency (3.60 score) was more increased happiness than extrovert tendency (3.23 score) by eating carbohydrates and sweet foods (p<0.05), while the girls of extrovert tendency (3.41 score) was more increased happiness than introvert tendency (3.04 score) by eating favorite beverages, including coffees, carbonated drinks and so on (p<0.05).
Conclusions Negative emotional change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reased sweet foods and skipping meals. A score of happiness feeling was increased by eating sweet foods or drinking favorite beverages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nd extrovert⋅introvert tendency. Therefore, we need to find appropriate diverse ways not to lead bad eating habits considering extrovert⋅introvert tendency of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