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Major 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서연(Seoyeon Moon) 김진욱(Jinwoo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289~3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언어교육’ 전공서적의 내용 분석을 통해 유아언어교육 교과목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추후 유아언어교육 교재 집필에 기초자료가 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부터 2024년 8월까지 출판된 유아언어교육 전공서적 총 27권을 분석 대상으로, 이론과 실제 파트로 나누어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이론 파트의 구성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언어지도’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제 파트의 구성은 형태는 언어 놀이와 활동, 내용은 다양한 자율 주제와 그림책 기반, 생활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성 체계 분석 결과, 16개로 나타났으며,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해 유아언어교육 전공서적 집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remin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ub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tion” major book, and to serve as basic data for writing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tion textbooks in the future.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27 books on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from the 2019 Nuri curriculum to August 2024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oretical and actual parts, and the analysis data were frequency analyzed with the Excel program.
Result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theoretical part were different, and the ‘language guidance’ area was the highest. Second, the actual part’s composition was shown to be language play and activities, and various autonomous themes and picture book-based and life topic in content. And as a result of the compositional system analysis, there were 16, and all were different.
Conclusions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writing major textbooks for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