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Using Nobel Engineering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환(Donghwan Kim) 오세준(Sejun 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노벨엔지니어링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2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 향상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저학년의 발달 단계와 학습 수준 및 흥미를 고려하여 그림 형제의《늑대와 일곱 마리의 아기 염소》를 노벨엔지니어링 도서로 선정하였고, 이야기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과 지도학습 모델을 학습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5회기, 총 13차시로 설계 및 개발하였고,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저학년 학생들이 이야기 속 문제의 해결책 제시 과정에서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지도학습 모델을 활용하는 학습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과 지도학습(티처블 머신)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할 때, 반복 학습을 통한 내재화를 통해 사후 2차 검사에서 저학년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의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저학년의 발달 단계와 학습 수준, 흥미를 고려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라면, 저학년 학생에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앞으로 저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 꾸준히 개발되는 것을 기대한다. 또한, 저학년 학생들이 반복 학습을 통해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과 지도학습(티처블 머신) 활용 방법을 내재화할 수 있다면,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an AI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 Nobel Engineering teaching method,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Methods An AI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applied to 23 second-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program's effectiveness in improving students'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was verified using a relevant assessment tool. In developing the program,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developmental stages, learning levels, and interests of lower-grade students. 《The Wolf and the Seven Little Goats》 by the Brothers Grimm was selected as the Nobel Engineering book, and decision tree algorithms and supervised learning models were used as learning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s within the story.
Results The AI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Nobel Engineering, was structured over five sessions with a total of 13 lessons and was implemented in a school setting.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able to propose solutions using decision tree algorithms and supervised learning models when solving the story's problems. Additionally, when lessons involving decision tree algorithms and supervised learning (Teachable Machine) were applied, the repeated practice led to internalization, which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udents'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as confirmed by the second post-tes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I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developmental stages, learning levels, and interests of lower-grade students are applicable. It is hoped that AI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lower-grade students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Furthermore, if lower-grade students can internalize the use of decision tree algorithms and supervised learning (Teachable Machine) through repeated practice, their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can impro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