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의 진로지원 인식 및 요구도 분석: 무전공 입학제 진로지원 방안 탐색을 중심으로
이용수 248
- 영문명
- Analysis of Freshm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Support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cusing on Exploring Career Support Measures for the Undeclared Admission 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Hyeyoung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5호, 47~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진로지원에 대한 현재 인식 수준과 중요도를 알아보고, 차이검증을 통해 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무전공 입학제 진로지원 방안 탐색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과 충청권역 4년제 종합대학 신입생 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t-test와 인식-요구도 분석, 보리치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로 알아보았다.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진로지원에서 최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항목을 제시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대학 신입생의 진로지원에 대한 IPA 분석결과에서 강화유지영역에 해당하는 요인은 정보 중심 지원(3항목)과 정서 중심 지원(1항목)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정보 중심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 신입생의 진로지원에 대한 현재 인식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과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현재 인식 수준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에서 가장 높은 순위는 정보 중심 지원(1.8. 나의 미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시험, 면접, 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이며, 5순위까지의 높은 우선순위의 빈도를 보면 정서 중심 지원(‘2.4.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 ‘2.6. 부모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진로문제에 관해 마음 놓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2.8. 졸업 후에 진학하거나, 직장을 갖도록 동기 부여)이 대체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학 신입생의 진로지원에 대한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은 정보 중심 지원의 ‘1.8. 나의 미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시험, 면접, 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지막 분석결과인 대학 신입생의 진로지원에 대한 교육 우선순위와 동일한 것으로 취업과 직접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정보 중심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정보 중심 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으로 기존의 진로지원 교과 및 프로그램을 점검하여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확대 시행되는 무전공 입학생들의 성공적인 진로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erceptions and importance of career support among freshm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analyze their needs through a difference test.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career support measures for the Undeclared Admission System.
Methods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215 freshmen from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Chungcheong region.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t-tests, IPA,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Based on this analysis method, the highest-priority items for career support were identified.
Result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PA analysis of career support for freshman university students revealed that the factors falling under the ‘reinforcement maintenance area’ category included three items related to information support and one item related to emotional support. However, most students indicated a need for information support.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perception levels and the importance of career support among freshman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and items.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s of perceptio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est priority was information support (1.8.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about exams, interviews, schedules, etc., for preparing for future careers).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the top five priorities showed that emotional support items (‘2.4. helping to manage stress during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2.6. providing opportunities to openly discuss career issues with parents,’ and ‘2.8. motivating students to pursue further education 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were also notably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highest priority area for career support among freshman university students was information support, specifically ‘1.8.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about exams, interviews, schedules, etc., for preparing for future careers.’ Fourth,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freshman university students prioritize career support education in alignment with their need for information support,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employ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upport and aim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existing career support courses and programs. Additio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of undeclared students who will be increasingly admitt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