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Female Entrepreneurs' Social Capital and Self-efficacy on Start-up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창업학회
- 저자명
- 박지영(Jiyoung Park) 김창완(Changon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창업학회지』제20권 제1호, 53~8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창업가의 사회적 자본이 자기효능감,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자본과 창업성과 사이를 매개하는지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대구 지역 여성창업가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창업가의 사회적 자본의 신뢰, 네트워크, 호혜적 규범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창업가의 사회적 자본 요인 중 신뢰와 호혜적규범은 창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네트워크는 창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 요인 중 신뢰는 창업성과 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지 않았으나 네트워크와 호혜적 규범은 창업성과 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창업가가 창업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자본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ocial capital of female entrepreneu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a survey of 173 female entrepreneurs in Daegu,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ust, network, and reciprocal norms of women entrepreneurs' social capital positively affect self-efficacy. Second, trust and reciprocal norms do not positively affect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mong women entrepreneurs' social capital factors, but the network does. Fourth,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ifth, among the social capital factors, trust was not mediated by self-efficacy, but network and reciprocal norms were mediated by self-efficacy. This study concludes that social capital and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women entrepreneurs' preparation for starting a busines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given that women entrepreneurs are more likely to attempt to start a business but are less likely to survive and grow due to a weak social support ba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