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a Company’s Contextual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Informal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전산회계학회
- 저자명
- 이유리(Yu-Ree Lee)
- 간행물 정보
- 『전산회계연구』제22권 제3호, 111~1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연구목적]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서 무형식 학습을 매개하여 기업의 맥락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매개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기업의 맥락적 환경을 관계지향 조직문화와 커뮤니케이션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추정하고, 영향력의 방향과 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기업의 맥락적 환경은 무형식 학습에 긍정적인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무형식 학습도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직접효과가 있었다. 무형식 학습을 매개로 한 기업의 맥락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직접효과에 비해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연구의 시사점]경험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분위기가 기업의 맥락적 환경으로 자리 잡으면 자발적인 무형식 학습이 촉진되고, 직무만족도도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업은 관계지향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한 맥락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직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기업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ntextual environment of domestic companies on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informal learning.
[Methodology]To assess this impact, the contextual environment of the company was defined in terms of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munic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estimat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s well as to compar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se influences.
[Findings]The contextual environment of the company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informal learning, which in turn also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s of the contextual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informal learning, were all positive;however, their influence was relatively smaller compared to the direct effects.
[Implications]The findings suggest that when a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a conducive communication atmosphere are established as the contextual environment of a company, spontaneous informal learning is facilitated, leading to enhanced job satisfaction. Therefore, companies should leverage the opportunity to improv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ultimately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fostering such an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