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Devin Creed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53권, 183~2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880년대와 1890년대에 예이츠가 민속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는 탐구한다. 예이츠는 민속을 활용하여 자신이 아일랜드인임을 강조하며, 프로테스턴트교인이면서 중산층 도시민으로서, 아일랜드독립운동에 참여하고자 한다. 아일랜드 농부들의 민속은 보편적 원시종교의 계승이며, 민속과 신비주의는 동일한 곳에서 파생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아일랜드 정체성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그는 농부들과 자신이 같은 신비주의적이고 전통적인 신바주의를 공유한다고 강조함으로써 자신과 농민층과의 연결 짓고 자신의 아일랜드정체성을 갖고자 한다. 문화에 활력을 불어넣는 예술가로 자처하는 그는, 원시종교의 영항을 보여주는 것 같은 특징을 강조하여 자신과 농산층 사이의 고리를 만듦으로써, 힘을 얻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Yeats’s use of folklore in the 1880s and 1890s. I think that Yeats uses folklore to cast himself as Irish, so that he, as a Protestant, middle class urbanite, could take part in the nationalist movement. It is also an attempt to forge his Irish identity by showing that the traditional folklore of the Irish peasantry was the inheritance of a universal primitive religion, and that folklore and the occult pointed to the same source. By claiming that the peasant was imbued with the same esoteric, ancient mysticism that he himself had adopted, Yeats drew a link between himself and the peasantry, thus giving himself access to Irishness. His self-imposed role as the artist who revitalizes culture gives him the power to make this link between himself and the peasantry through emphasizing certain aspects of their folktales that appear to show the influence of primitive religion.
목차
Irish Nationalism
Yeats’s Influences and Identity
The Role of the Artist
Yeats’s Turn to Folklore
The Link Between Folklore and Primitive Relig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