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gic Ecstasy and the Sublime in W. B. Yeats’s Poems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조정명(Jung Myu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64권, 179~1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삶과 역사의 현장에 편재한 모순대립은 예이츠의 마음속에 비극적 서정성을 잉태하는 씨앗으로 작동했다. 비극적 서정성은 그가 철학적 사색을 거치면서 ‘비극적 황홀’로 귀결되어 재현되었다. 이를 시에 재현하는 것은 그의 큰 관심사였다. 그가 강조한 ‘비극적 황홀’은 에드먼드 버크가 주장한 ‘안도감이 수반된 두려움’과 같은 맥락으로 숭고의 다른 이름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버크의 숭고의 관념을 예이츠의 다섯 시편에 적용하여 예이츠 시에 재현된 ‘비극적 황홀’의 의미를 확인하면서, 숭고를 논증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W. B. Yeats was deeply concerned with the concept of antinomies and oppositions in human history, which was to further develop to become the concept of his tragic ecstasy as fully realized in his later work. One of his primary concerns in his poems is to express the tragic ecstasy. It may be linked with Edmund Burke’s concept of delightful horror, or the idea of the sublime. I would like to apply Burke’s ideas of the sublime in Yeats’s five poems, and compare them to see the affinities between Yeats and Burk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