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Data Sovereignty Awareness on Intention to Use Sovereign AI: A TAM-Based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현구(Hyun-Goo Lee) 이동일(Dong-il Lee)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에 대한 사용자 인식이 소버린 AI(sovereign AI)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 주권은 개인과 국가가 데이터를 직접 접근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리로,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 속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연구모형은 데이터 주권 신뢰(data sovereignty trust)를 독립 변수로 설정해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과 함께 소버린 AI 태도 및 소버린 AI 이용의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SmartPLS4를 이용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데이터 주권 신뢰는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소버린 AI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 주권 신뢰가 단순한 기술적 요인을 넘어 사용자 신뢰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임을 보여준다. 특히 나의 데이터가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통제되고, 접근 가능하며,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개인적 신념(belief)으로써의 믿음인 데이터 주권 신뢰가 소버린 AI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은 소버린 AI의 성공적인 도입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 주권 신뢰를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국가 간 데이터 보호 정책과 조화를 이루며, 데이터 활용의 안전성을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또한, 본 연구는 소버린 AI 개발자와 정책 입안자들에게 데이터 주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정책적 방안을 강화함으로써 사용자 신뢰와 사용 의도를 높이고,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마케팅적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user awareness of Data Sovereignty on attitudes and intentions to use Sovereign AI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Data Sovereignty is the right of individuals and countries to directly access and control data, and its importance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The research model set Data Sovereignty Trus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are the main variab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attitudes toward Sovereign AI and Intentions to use Sovereign AI.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using SmartPLS 4, Data Sovereignty Trust not on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but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s toward Sovereign AI and intentions to use it. These results show that Data Sovereignty Trust is a major factor in forming user trust beyond simple technical factors. In particular, Data Sovereignty Trust, which is a personal belief that my data is reliably controlled, accessible, and safely manage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and willingness to use Sovereign AI.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nd activate the market for Sovereign AI, user experience should be improved based on Data Sovereignty Trust, data protection policies across countries should be aligned, and the safety of data use should be clearly communicated.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marketing implications for Sovereign AI developers and policymakers that strengthening technical and policy measures to protect Data Sovereignty can increase user Trust, Intentions to Use and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AI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