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dult Male and Female Values and Life Patterns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홍은혜(Eunhye Hong) 이지영(Ji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1호, 587~6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치관과 생활패턴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미용관리행동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장 활발한 소비활동을 보이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관과 생활패턴, 미용관리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즐거움 지향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미용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패턴의 경제실용지향, 유행추구, 외모지향이 높을수록 미용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들의 유형을 분석하고 관계를 연구하여 그들의 니즈와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소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미용산업의 마케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소비시장을 파악하고 K-뷰티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ategorized values and life pattern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by type.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men and women who showed the most active consumption activities,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alues, life patterns,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Second, the higher the enjoyment-oriented values, the higher the beauty management behavior. Third, the higher the economic practical orientation, trend pursuit, and appearance orientation of the life pattern, the higher the beauty management behavio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nalyze the types of consumers and study the relationship to present new consumption directions that fit their needs and trend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marketing of the beauty industry to identify the consumption market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beau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