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Growth Comparison of Male Stud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odern Korea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동욱(Donguk Lee) 이상미(Sangmi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1호, 357~3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과 현대 한국 남학생의 성장 패턴을 비교하여 신체 발달의 시대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6년 조선총독부의 ‘조선인학교생도 신체검사성적’과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자료를 활용하여 신장, 체중, BMI의 연령별 변화와 성장 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 남학생은 모든 연령에서 조선 남학생보다 더 높은 신장과 체중을 기록하였으며, 신장 증가율(현대: 5.09cm/년, 조선: 4.20cm/년)과 체중 증가율(현대: 4.21kg/년, 조선: 2.47kg/년)에서 현대 남학생이 유의미하게 빠른 성장 속도를 보였다. BMI 증가율 역시 현대 남학생(0.55kg/m²/년)이 조선 남학생(0.31kg/m²/년)을 나타냈다. 조선 남학생의 BMI는 대부분 현대 기준에서 저체중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는 두 시대 간 아동 성장 패턴의 비교를 통해, 시대적 변화가 신체 발달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비교가 아동 발달에 대한 역사적 맥락과 현대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적 가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physical development by comparing the growth patterns of Korean male stud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odern Korea. Using the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of Korean School Studen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6 and the 2017 Child and Adolescent Growth Chart, we compared age-related changes in height, weight, and BMI and growth rates. Modern male students were taller and heavier than Joseon male students, and their height and weight growth rates and BMI growth rates were also faster. Most of the BMIs of Joseon male students were underweight by modern standard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times on physical development through a comparison of growth patterns and derived modern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